삼성그룹 대외후원금 투명성 강화에 담긴 뜻

글로벌 삼성 위상 걸맞게 투명경영 의지…'다음주 미전실 해체' 보도에 삼성측 "결정된 것 없다"

김혜연 기자 | 기사입력 2017/02/24 [13:05]

삼성그룹 대외후원금 투명성 강화에 담긴 뜻

글로벌 삼성 위상 걸맞게 투명경영 의지…'다음주 미전실 해체' 보도에 삼성측 "결정된 것 없다"

김혜연 기자 | 입력 : 2017/02/24 [13:05]
▲ 삼성전자는 앞으로 10억 원이 넘는 기부금을 집행할 때는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규정을 바꾼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돼 최대 위기를 맞은 삼성그룹이 초강수를 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10억 원이 넘는 기부금을 집행할 때는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규정을 바꾼다. 또한 정경유착의 오명을 벗기 위해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을 이르면 3월 초에 완전 해체하고 사장단 인사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월24일 '대외 후원금 운영 투명성 강화'를 천명하고 "외부에 지급하는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CSR 기금) 운영의 투명성을 대폭 강화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라 10억원 이상의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 지출은 사외이사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이사회 의결을 거쳐야 하고, 그 내용은 외부에 공시하기로 했다. 사외이사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준법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외부 단체나 기관의 요청에 따른 기부, 후원, 협찬 등의 ‘후원금’과 삼성전자의 사회봉사활동, 산학지원, 그룹 재단을 통한 기부 등 ‘사회공헌기금’이 모두 해당된다.

 

삼성전자는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의 집행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이 같은 조치와 함께 △사전 심사를 위한 ‘심의회의’ 신설 △분기별 운영현황과 집행결과 점검 등 구체적 실행 방안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기부금에 한해, 자기자본의 0.5%(약 6800억 원) 이상 (특수관계인은 50억 원 이상)인 경우에만 이사회에서 결정했었다.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규정된 경우는 관계 회사와의 거래이거나 총액이 500억 원 이상으로 한정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소액 기부라도 보다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기 위해 이사회에서 결정한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에 대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할 방침이다. 또한 분기별로 발간하는 사업보고서와 매년 발행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도 관련 내용을 게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에 대한 사전 심사를 강화하기 위해 ‘심의회의’를 신설한다. ‘심의회의’는 법무를 비롯해 재무, 인사, 커뮤니케이션 부서의 팀장이 참여하며, 매주 한 번씩 모여 심사를 진행한다. 1000만원 이상의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이 심의 대상이며, 심의회의에서 지원이 결정된 경우에만 다음 단계로 프로세스가 이어진다.

 

운영과 집행결과에 대한 점검도 강화된다.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의 운영현황과 집행결과는 분기에 한번씩 심의회의와 경영진뿐만 아니라 이사회 산하 감사위원회에서 점검할 계획이다.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가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 집행을 점검하게 돼 투명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삼성그룹이 그간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오던 미래전략실을 다음주에 해체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지난 2월6일 삼성 측은 "특검의 수사가 끝나는 대로 미래전략실 해체와 관련한 조치가 있을 것"이라면서 "이미 해체 작업을 위해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2월23일 특검 수사 연장법과 관련된 국회 본회의 직권상정이 무산되고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이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을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검은 오는 2월28일 '간판'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 같은 특검 종료 시점과 맞물려 삼성그룹이 다음주에 미래전략실 해체를 발표할 것이라는 분석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미래전략실은 주요 계열사의 인수합병 등 사업전략과 인사, 감사, 대관 업무를 총괄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회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 해체를 대외적으로 약속한 이후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시기를 놓고 그동안 검토를 벌여왔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지난 2월17일 전격 구속되면서 미래전략실 해체를 포함한 삼성의 그룹 쇄신안이 무기한 연기될 것으로 보는 것이 우세했다. 그러나 특검법 개정안의 국회 처리가 무산되는 등 수사 기간 연장 가능성이 희박해지면서, '미전실 3월 해체'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미전실 해체와 관련해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 임직원만 50만 명에 달하는 글로벌 기업 경영을 위해서라도 불확실성을 조기에 추스려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어 미래전략실 조기 해체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삼성 미래전략실 관계자는 "특검팀의 수사 이후 미전실을 해체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지만,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며 "'3월 해체'는 특검 수사 종료 시점에 맞춰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관측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삼성그룹 주변에서는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사장단 인사도 조기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미래전략실을 책임져 온 최지성 실장(부회장)과 장충기 차장(사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삼성 미래전략실 관계자는 "최지성 부회장의 사의 표명은 확인된 것이 아니다"고 전하면서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사장단 인사 조기 단행도 앞서가는 보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삼성과 경제 많이 본 기사